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금융

연차수당 지급기준 및 계산법 알아보기

by jeaniel 2021. 7. 3.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차수당에 관해 궁금하신 사항을 해결하실 수 있도록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1. 연차 지급기준
2. 연차 미소진 시 
3. 연차수당 계산법 

 

연차 지급기준

 

처음 입사하신 사회초년생이시라면 연차의 개념에 대해서 다소 헷갈리실 수도 있을 것 같아 우선 연차에 대해서 먼저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회사에 입사한 시점부터 근무한지 1년이 넘으면 근로기준법에 따라 15일간의 연차가 발생하게 됩니다. 연차는 유급휴가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 이때 15개의 연차 지급 기준은 1년간 80% 이상 출근을 해야 지급이 됩니다. 입사한 지 1년이 안 되었다면 연차를 받지 못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입사한 지 1년 미만의 경우, 한 달 만근 시에 1개의 연차가 생깁니다. 

 

 

연차일수

 

연차일수는 근무한 연차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회사에 입사한 지 3년차가 되면 1일이 추가되고 그 다음부터는 2년마다 1일씩 추가가 됩니다. 예를 들어 입사한 지 3년차가 되면 연차일수가 16일이고, 그 다음부터는 2년마다 1개씩 추가되니 입사 5년차에는 17일의 연차일수가, 입사 7년차에는 18일의 연차일수가 생깁니다. 이에 따라 연차가 늘어나게 되고 최대 연차 발생 휴가일수는 25일입니다. 

 

 

 

연차 미소진 시 


만약 15개의 연차를 1년 내에 다 쓰지 못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이때는 회사마다 규정이 조금씩 다릅니다. 주어진 연차를 1년 동안 쓰지 못할 때에는 자동소멸이 되는데 이때 연차수당을 지급하는 곳이 있고 미지급하는 곳이 있습니다. 제가 다닌 첫 직장에서는 연차수당이 없었기 때문에 연차가 많이 남은 사람들에게는 빨리 연차를 쓰라고 엄청 압박을 하더라고요. 그러나 연차수당이 있는 회사는 연차를 미소진 시 연차수당으로 지급하고 있습니다. 

 

 

연차수당 계산하기 

 

마지막으로 연차수당을 계산하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연차수당이 은근 쏠쏠하기 때문에 굳이 휴가기간 빼고 연차를 쓰지 않는 분도 계시더라고요. 저도 첫 직장을 퇴사할 때 거의 1년치의 연차수당을 받았는데 엄청 쏠쏠했답니다. 그럼 지금부터 연차수당을 계산하는 법을 알려드리겠습ㄴ디ㅏ. 

 

연차수당 = 1일 통상임금 x 미사용 연차일수

 

여기서 1일 통상임금이란 회사 일급을 의미하는데 만약 5개의 연차가 남았다면 본인의 회사 일급에 5를 곱하면 되겠습니다. 

 

 


지금까지 연차수당에 관한 글을 정리해보았는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이만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